DSR, DTI, LTV는 부동산 구입 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대출 규제 관련 용어입니다.
DSR은(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 DTI는(debt to income) 총부채 상환비율, LTV는(loan to value ratio) 담보인정비율을 뜻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DSR, DTI, LTV의 뜻과 산출방식, DSR/DTI 계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SR 뜻과 산출방식
DSR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총부채 원리금상환비율을 의미합니다.
모든 부채의 연간 원리금상환 총액을 기준으로 대출한도를 정하는 비율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금융권에서 대출 시 DSR 비율을 40%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DSR 산출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SR = (모든 주택담보대출 연간 총상환액(원금+이자) + 기타 부채 연간 총상환액(원금+이자)) / 연소득 × 100
DTI 뜻과 산출방식
DTI는 Debt(총부채, 전체 빚) to income(소득)의 약자로 총부채 상환비율을 의미합니다.
소득에서 몇 %를 전체 빚의 원금과 이자(원리금이라고 함)를 갚는데 사용되는지를 따지는 것입니다.
DTI가 40%고 연소득이 1억인 경우, 4천만원을 상환하는데 쓸 수 있는 상한선이 됩니다. 즉 그만큼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DTI 산출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TI = (모든 주택담보대출 연간 총상환액(원금+이자) + 기타 대출 이자) / 연소득 × 100
* 모든 주택담보대출 : 2건 이상의 모든 주택담보대출 합계
LTV 뜻과 산출방식
LTV는 Loan(대출금) to Value(가치, 여기서는 가치평가액) Ratio(비율) 담보인정비율을 의미합니다.
매매가대비 대출비율에 따른 대출가능금액입니다.
10억짜리 아파트의 ltv가 70%면 7억이고, 60%면 6억입니다.
전자의 경우 자기자본금 3억이면 주택 구매가 가능하고 후자의 경우 자기자본금 4억으로 주택 구매가 가능합니다.
LTV 산출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LTV = 대출 가능한 금액 / 주택 담보물의 가치 × 100
DSR 계산기 및 DTI 계산기
본인의 소득금액, 대출정보를 입력하여 DSR 및 DTI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DSR / DTI 계산기를 통해 지금 바로 계산해 보세요
DSR, DTT, LTV 비교
LTV는 담보물인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대출규제를 하는 것입니다.
DTI, DSR은 소득과 상환액을 기준으로 대출 규제를 하는 것입니다.
DSR은 DTI는 대출 상환금액(원금/이자)을 기반으로 비율을 산정하여 대출을 규제하는 것입니다.
DSR과 DTI 차이는
DTI는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기타대출의 이자 상환액인데 반해, DSR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기타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으로 더 확장된 개념입니다.
총부채 상환액을 소득과 비교해서 대출을 해주는 것은 똑같지만,
DSR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외 대출(기타대출)까지도 이자 상환액이 아니라, 원금과 이자 상환액(원리금상환액)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이 차이입니다.
DSR을 기준으로 대출을 하면 보수적으로 더 낮은 금액의 대출이 실행될 것입니다.
최근 우리 나라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세계 두번째로 빠르다는 기사로 인해 DSR 및 LTV 규제 강화에 대한 여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곧 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수도 있으니 투자하시는분들은 대비 하실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관련한 뉴스를 통해 현장 분위기와 세부 내용을 확인해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기사 조회 후 나의 DSR 및 DTI 비율을 다시 한번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