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정보
아래의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사용해서 간편하게 차량별 취득세와 공채매입 비용(등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란
자동차 취등록세는 자동차 취득세와 등록세를 합쳐서 부르는 것입니다. 자동차 구입 시 필수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자동차 취득세는 차량을 구입해서 등록할 때 내는 세금으로서 차량 가액의 7%가 기본 세율입니다.
공채 매입비용이란 차량 등록 시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준조세로서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따라 비용이 다릅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 방법
자동차 취등록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 항목들이 필요합니다:
- 차량 가액: 신차의 경우 구매 가격, 중고차의 경우 시가표준액과 실제 구매가격 중 높은 금액
- 차종 및 용도: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등의 구분과 영업용/비영업용 여부
- 배기량: 경차 여부 확인을 위해 필요
차종 및 용도 | 취등록세율 |
---|---|
비영업용 승용차 | 7% |
비영업용 승합/화물차 | 5% |
영업용 자동차 | 4% |
경차 (비영업용) | 면제 또는 감면 |
계산 공식: 취등록세 = 차량 가액 × 취등록세율
예를 들어, 3,000만원짜리 비영업용 승용차를 구매한 경우:
취등록세 = 3,000만원 × 7% = 210만원
단, 경차나 친환경 차량, 다자녀 가구 등의 경우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해당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추가로 공채매입비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365’ 사이트의 계산기를 이용하거나, 관할 지자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자료